본문 바로가기
지식창고

고구려가 멸망한 이후 고구려인들은 어디로 갔을까?

by 놀고싶은날 2024. 12. 20.
728x90
반응형

신라, 당(唐) 제국, 발해, 일본 등 주변 국가와 지역으로 이동한 고구려 유민들의 동향과 이들이 새로운 사회 및 문화 형성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다. 또한 정치·사회적 변동, 외교적 관계, 국제 질서 변화 속에서 고구려 유민들의 삶이 어떤 지점에서 재조명되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고구려 멸망의 배경과 의의

고구려는 5세기 장수왕 시기 최대 영토를 누리며 만주 및 한반도 북부 지역에 강력한 세력을 구축했던 고대 국가였다. 그러나 7세기 들어 수·당 제국과의 대립, 백제 및 신라와의 삼국 경쟁 구도, 내부 정치적 불안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점차 세력이 약화되었다. 특히, 당과 신라의 연합군이 668년에 평양성을 함락하고 고구려를 멸망시키면서 700년 가까이 존속한 이 나라는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졌다.

고구려가 멸망한 이후, 상당수 고구려인들은 삶의 터전을 잃고 뿔뿔이 흩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유민들은 여러 지역과 사회에 흡수되거나, 새로운 집단을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후 고구려 유민들은 발해 건국, 신라 사회 통합, 당 제국의 변방 개척, 일본으로의 이주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한반도와 동아시아 역사의 흐름에 재편입된다.


고구려 유민의 분산: 멸망 직후의 상황

고구려 멸망 직후, 당나라는 고구려 땅을 안동도호부 등의 기구를 설치해 직접 지배하려 시도했으며, 포로로 삼은 고구려 귀족과 병사, 백성들을 당 본토로 이주시켰다. 이러한 강제 이주는 당나라의 동북방 변방 전략의 일환으로, 고구려인들을 분산시켜 반란 발생을 방지하고, 동시에 이들을 제국 건설에 유용한 노동력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한편, 신라는 고구려 영토의 일부를 차지했으며, 고구려 백성들을 자국 시스템에 흡수하려고 노력했다. 신라는 고구려 출신 인물을 관리로 등용하거나, 지방 행정 단위로 편제하는 정책을 펼쳤다. 이로써 신라는 당을 견제하고 한반도 통합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고구려 유민들을 자국 사회로 포용하는 전략을 사용했다.


당나라로 이주한 고구려인들: 강제 이주와 정착

당나라는 고구려 멸망 후, 상당수의 고구려인들을 당 본토로 끌고 갔다. 이들 중 일부는 수도 장안(오늘날 시안) 인근이나 하남(河南), 산동(山東) 등지로 재배치되었고, 변방 군사 주둔지나 농업 개척지에도 배치되었다. 또한 고구려 출신 귀족, 장수, 기술자들은 당의 관직에 진출하거나 군사력 보강을 위한 용병 또는 변방 방어 역할을 맡기도 했다.

예를 들어, 고구려 유민 출신으로 당나라에서 관직을 역임한 인물도 존재하는데, 이는 고구려인들이 문화·언어적 장벽을 극복하고 당 제국 내 엘리트 집단에 일부 편입되었음을 의미한다. 다만 다수 일반 백성들은 강제 이주와 토지 몰수, 낯선 환경과 문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고통을 겪었을 가능성이 크다.


신라 사회로 편입된 고구려 유민들

신라는 삼국통일 과정에서 고구려를 비롯한 북방 지역을 통합하려 했고, 이 과정에서 고구려 유민에 대한 정책이 중요했다. 신라는 고구려 출신 귀족을 일정 지위에 두어 정치적 안정을 꾀하고, 일반 백성들에게도 토지 분배나 지방 행정 편제를 통해 점진적 동화를 추진했다.

신라의 관료 체계나 군사 조직 내에 고구려인들이 편입되고, 문화·풍습 측면에서도 혼합이 발생했다. 이는 신라 사회가 한층 다원화되고, 북방적 요소를 받아들이는 계기가 되었다. 비록 남부 지역의 신라 문화와 북부 지역의 고구려 전통이 섞이면서 문화적 혼합이 이루어졌으나, 일정 시간이 흐르며 신라 체제에 서서히 동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발해 건국과 고구려 유민의 역할

668년 고구려 멸망 이후, 고구려 유민들의 움직임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발해(渤海)의 건국이다. 고구려 유민 출신 대조영(대조영, ?~719?)은 고구려-말갈(靺鞨) 세력을 규합하여 698년경 동모산(東牟山)에서 진국(震國)을 세웠다가 이후 국호를 발해로 바꾼다. 발해는 고구려의 영토를 상당 부분 계승했으며, 고구려의 문물 제도를 상당히 계승한 국가로 평가된다.

발해는 고구려 유민과 말갈 세력이 융합되어 형성된 국가로, 통치 구조나 문물에서 고구려 전통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특히 상경 용천부(上京龍泉府)의 수도 계획, 장식무늬 기와, 불교 사찰 양식 등에서 고구려 문화적 요소가 확인된다. 이를 통해 고구려 유민들은 발해를 통해 고구려 문화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동북아 정세에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일본으로의 이주와 고구려계 도래인

고구려 멸망 전후로 일부 고구려인들이 일본열도로 건너간 사례도 주목할 만하다. 실제로 고구려 유민이나 백제, 신라 출신 이주민들이 일본 고대국가 형성기에 기여했다는 일본측 사서와 고고학적 증거가 존재한다. 특히 일본에 건너간 고구려계 이주민들은 토목, 군사기술, 불교, 문화 전파에 일정한 영향을 끼쳤다고 여겨진다.

일부는 일본 궁정에서 학자나 기술자로 활동하며, 일본 고대 문화 발전에 기여했고, 이를 통해 동아시아 국제 질서 속에서 한반도 도래인들의 영향력을 재조명할 수 있다.


거점 세력 형성과 반당(反唐) 운동

고구려 멸망 이후에도 당나라의 직접 지배에 반발하는 고구려 유민 세력은 끊임없이 등장했다. 안동도호부 체제 하에서 고구려 유민들은 반란을 일으키거나, 당의 지배력 약화 시 도망쳐 나오기도 했다. 예를 들어 걸사(乞四) 등 반당 봉기가 일어나기도 하고, 나당전쟁 이후 신라와 연대하거나 발해로 편입되는 경로를 택하기도 했다.

이처럼 고구려 유민들은 단순히 지배 세력에 흡수되는 수동적 존재가 아니라, 때로는 독립성과 자치권 회복을 위해 항쟁하는 적극적 정치 집단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고구려 유민의 문화적 영향

비록 고구려라는 국가 자체는 멸망했지만, 고구려인의 문화와 정신은 여러 경로를 통해 전승되었다. 발해는 고구려 문화를 상당부분 계승했으며, 신라 사회에도 북방적 요소가 스며들었다. 또한 당나라나 일본 등지로 이주한 고구려인들은 각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이러한 문화적 연속성은 건축, 회화, 불교, 도교, 국방전략, 의복 양식 등에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났다. 고구려 특유의 호방한 기상, 불교 신앙, 천문 역법, 군사 기술 등은 직접적·간접적으로 후대 국가에 흡수되었다. 결과적으로 고구려 유민의 존재는 동아시아 문화 네트워크의 한 축을 형성하는데 기여했다.


역사학적 재조명과 의의

고구려 멸망 이후 고구려인들이 어디로 갔는가에 대한 문제는 역사가들 사이에서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다. 전통적으로 한국사에서는 고구려계 유민들이 발해 건국을 주도하고 신라 사회에 흡수된 점을 강조한다. 중국사에서는 당 제국 변방 개척과 군사 자원으로 고구려인을 활용한 측면, 발해를 말갈 중심 국가로 보려는 관점도 존재한다. 일본 측 연구에서는 도래인으로서 고구려인들이 일본 고대 문화 형성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탐구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시각은 고구려 유민 문제가 단순히 한반도 내부사에 국한되지 않고, 동아시아 국제관계사와 문화교류사 차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을 보여준다. 고구려 유민에 대한 연구는 한민족 정체성, 동아시아 문화권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데 결정적 단서를 제공한다.


고구려인의 흔적과 계승

고구려 멸망 이후, 고구려 유민들은 당나라, 신라, 발해, 일본 등 다방면으로 흩어졌다. 이 과정에서 이들은 단순한 패망국 백성에 그치지 않고, 새로운 국가 형성과 문화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발해의 건국은 그 대표적 사례이며, 신라 사회로의 편입을 통해 한반도 남부 정세 안정화에 기여했다. 당나라와 일본에서의 활동 역시 고구려인의 기술, 문화, 사상이 동아시아 전역에 스며드는 계기가 되었다.

고구려가 비록 멸망했으나, 그 유민들은 다양한 지역으로 확산되며 역사적 변동을 주도하거나 조력하며, 동아시아 국제 질서와 문화 흐름을 재구성했다. 이로써 고구려인의 활동은 국가의 명멸을 넘어선 긴 역사적 지평 속에서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 고구려 유민 문제를 깊이 고찰함으로써 우리는 고대 동아시아 세계의 복잡한 상호작용과 정체성 재편 과정을 더 명확히 이해할 수 있으며, 이는 한민족의 역사적 뿌리와 문화적 정체성 형성에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