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창고

티몬, 위메프 사태를 악용하는 피싱에 주의하세요.

by 놀고싶은날 2024. 8. 16.
728x90
반응형
SMALL

그럴듯해 보여도 피싱입니다

 현 시점 티몬, 위메프를 언급하는 환불 안내 문자는 모두 피싱이라고 생각하는 게 좋습니다 아니 피싱이라 생각해야 합니다.. 환불을 이유로 들며 개인정보를 요구하거나 악성 앱을 설치하게 하는 등 사기 시도가 발생하고 있는데요. 금융감독원은 소비자 경보까지 발령한 상황입니다.

환불 보상 청구

 

피싱 문자의 URL 링크를 클릭하면 위 예시처럼 한국소비자원을 사칭한 피싱 사이트로 연결해 악성 앱을 받게 하거나, 티몬이나 위메프의 환불 양식을 모방한 사이트로 연결해 개인정보, 구매내역 등을 입력하도록 유도해요. 네이버 등 익숙한 사이트를 모방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하는 것도 흔히 일어나고 있습니다.

각종 민감한 정보가 피싱 사기범에게 노출되면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피싱 문자를 받았다면

피싱 문자 메시지를 받았을 때는 신중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먼저, 의심스러운 문자를 확인하고 발신자를 주의 깊게 살펴보세요. 공식 기관이나 회사의 이름을 사칭하더라도, 전화번호나 이메일 주소가 일반적인 것과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문자에 포함된 링크를 클릭하거나 첨부파일을 열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러한 링크는 악성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개인 정보를 탈취할 수 있습니다. 만약 문자에 개인 정보나 금융 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내용이 있다면, 즉시 무시해야 합니다.

대처 방안으로는 해당 문자를 스크린샷하거나 복사하여 관련 기관에 신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에서는 경찰청 사이버안전국이나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다른 사람들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자신의 금융 계좌나 개인 정보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의심스러운 거래가 있을 경우 즉시 은행에 연락하여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기기의 보안 설정을 강화하고 최신 보안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추가적인 보호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러한 예방 조치를 통해 피싱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링크가 있다면 그 링크를 클릭하지 말고, 바로 문자를 삭제하는 게 가장 좋은데요. 티몬, 위메프, 한국소비자원 등은 환불 안내 문자를 보내지 않아요. 환불 관련 사항은 한국소비자원, 금융감독원, 카드사 등에 직접 연락해 문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미 링크를 클릭했을 경우 보이스피싱 통합신고∙대응센터(112)나 각 금융회사 콜센터 등을 통해 계좌 지급정지를 요청하고 피해 구제를 신청해야 합니다. 빠를수록 좋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